12월 22일,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인 동지입니다. 동지는 겨울의 대표적인 절기로 민간에서는 작은설 또는 아세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하늘에 떠있는 태양이 가장 짧아졌다가, 동지가 지나면 다시 점점 낮이 길어진다고 하여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습니다.
동지는 대설과 소한 사이에 들며, 태양 황경이 270도에 달한 시점입니다. 이는 양력 12월 22일, 음력으로는 12월 무렵입니다.
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입니다. 여기서 태양의 황도란 지구의 공전으로 나타나는 천구에서의 태양 겉보기 운동 경도를 말합니다.
즉,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를 황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황경은 태양이 춘분점과 이루는 각도입니다. 농사가 중요했던 옛날에는 24절기를 농사에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동지는 무슨 뜻일까?
동지(冬至)
冬 : 겨울 동, 북소리 동
1. 겨울
2. 겨울을 지내다
3. 겨울을 나다
4. 동면하다
5. 북소리
冬 : 이를 지
1. 이르다, 도달하다
2. (영향을)미치다
3. 과분하다
4. 지극하다
5. 힘쓰다, 다하다
6. 이루다
동지의 한자 뜻을 그대로 풀면 '겨울에 이르다' 또는 '겨울에 도달하다' 이라는 뜻이 됩니다.
우리의 가장 큰 명절인 '설'에 빗댄 '작은 설' 이라고도 불린 동지. 그래서 동지에는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또한 동지는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 불립니다. 그 이유는 몸에 열이 많은 동물이라 믿었던 호랑이가 날씨가 춥고 밤이 긴 동지에 교미를 하기 가장 좋은 날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예로부터 동짓날이 되면 백성들은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다고 합니다. 일가친척, 이웃과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풀어 해결하려 노력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이어져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 운동을 이곳 저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동지가 되면 팥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은 우리나라사람이라면 대부분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왜 동지에 팥죽을 먹어야 하는 것일까요?
동지팥죽의 유래
옛날 어느 마을에 바보아들이 있었는데, 그가 동짓날에 죽어 역질 귀신으로 나타나 사람들을 괴롭혔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가 살아생전 붉은 팥을 무서워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동짓날 붉은 팥죽을 쒀서 그를 물리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팥죽을 만들면 사당에 올려 고사를 지내고 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 구석구석 높아두었다가 식으면 식구들과 나누어 먹었다고 합니다. 이로써 팥의 붉은색이 집안의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고, 잡귀를 이겨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믿었으며, 사람이 죽으면 팥죽을 만들어 상갓집에 보내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팥죽으로 말미암아 상갓집에서는 악귀를 쫓아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 조상들은 팥죽을 동지에만 만들어 먹은 것이 아니라 경사로운 일, 슬픈일이 있을 때에도 팥으로 음식을 해먹었습니다. 팥죽, 팥밥, 팥떡 등이 대표적이며 그 풍습은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죠.
팥의 효능은 악귀를 쫓아낸다는 믿음과는 별개로 실제로 우리몸에 아주 좋다고 합니다.
중국의 의학고서에는 팥이 열독을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는데요, 우리나라 한방에서는 상체가 발달하고 열이 많은 소양인들에게 팥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팥에는 피하지방의 축적을 방해하는 비타빈B1이 함유되어 있어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좋으며, 순환기 계통의 질병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이뇨작용을 활발히 하여 몸의 붓기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풍부한 사포닌과 식이섬유로 변비해소에도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