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정태세문단세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국사를 배운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문장입니다. 사실 문장은 아니고 조선 왕들의 계보를 앞글자만 따서 암기하기 쉽게 만든 것이죠.
조선 왕의 계보는 순서대로 아래와 같습니다.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철종, 헌종, 고종, 순종
왕들의 이름은 왕이 죽은 후 그의 업적을 기리며 후대에 붙는 이름인 것은 상식으로 알고계실 겁니다. 이를 '묘호'라고 합니다. 그런데 조선 왕들의 끝 글자에서 공통점이 보입니다. 모두 종과 조, 또는 군으로 끝난다는 사실이죠.
무슨 차이로 왕의 이름 뒤에 조나 종을 붙였을까요?
묘호란 왕이 죽은 후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며 창업한 왕은 조,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을 붙이는 것이 그 관례입니다. 따라서 관례에 따르면 '조'라는 이름이 붙는 왕은 새로운 시대를 연 사람이므로 유일해야 합니다. 고려시대의 '태조'가 유일한 것 처럼요.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조'가 여러명이 있습니다. 태조 뒤에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있죠.
세조의 묘호는 아들인 예종이 적극적으로 '조'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선왕(앞선 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었고, 그 뒤에 등극한 새로운 왕이니 새로운 왕조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논리였습니다.
이때 부터 종(宗)에서 조(祖)로 높이는 일들이 시작되었습니다. 선례가 있으니 후대에 따르지 못할 것이 없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세조 후에 또 다른 '조가' 붙는 왕은 선조입니다. 선조의 묘호는 원래 선종이었으나, 임진왜란을 극복한 공을 인정해 광해군이 '선종'에서 '선조'로 높였다고 합니다. 영조와 정조, 순조도 원래는 영종, 정종, 순종이었지만 철종이 순종을 순조로 높였고, 고종은 직계 혈통인 영종과 정종을 영조와 정조로 높였습니다.
따라서 조(祖)는 개국을 한 왕이나 반정 또는 국난을 극복하여 나라의 정통을 세운 왕에게 붙습니다. 종(宗)은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에게 붙는 것으로 선왕의 뒤를 이어 나라를 잘 다스려 종묘사직을 지킨 왕에게 붙는 묘호가 되었습니다.
반면 군(君)은 폐위되어 종묘에 들지 못한 왕에게 붙습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이 있죠. 추가로 단종은 왕위를 찬탈 당하여 '노산군'이라고 불리다가 숙종 때에 단종으로 높여 묘호를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