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홍콩에 국가보안법을 선포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즈(NYT)가 홍콩지사 인력의 일부를 서울로 옮기기로 결정했습니다. 홍콩의 외국언론인 비자발급 제한이 뉴욕타임즈 서울 이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중국에서만 24년간 지냈던 크리스 버클리 뉴욕타임스 베이징 특파원은 지난 3월 중국 정부로부터 기자증 시효 연장을 거부당했고, 홍콩 입국을 위한 비자를 추가로 신청했으나 이마저도 거부당한 바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중국 본토에서 거부당한 트파원에 대해 홍콩에서도 같은 규정을 적용한다는 입장입니다. 결국 버클리 특파원은 워싱턴포스트, 월스트리트 저널의 다른 특파원 2명과 함께 중국에서 나와야 했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뉴욕타임즈를 포함한 홍콩내부의 외신들이 홍콩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뉴욕타임즈는 태국 방콕, 싱가포르, 일본 도쿄 등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 대한민국의 서울을 선택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 해외기업에 우호적이며, 독립된 언론이 있고 주요뉴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매력적"이라고 그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전하는 뉴욕타임즈의 홍콩지사는 전 인력이 서울로 오는 것이 아니라, 홍콩지사 인력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디지털 분야만 이전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번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에 대한 행정명령과 제재법안에 서명한 시점에 발표됐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만 합니다.
홍콩에 중국과 똑같은 규제가 적용되고 관세까지 부과되면 비단 언론기업의 이탈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들의 탈출도 속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산업이 바로 금융권입니다. 미국이 보안법에 관여한 중국 관리들과 거래하는 은행들을 제재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은 물론 홍콩에 진출한 미국 은행들도 마음을 놓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미국 은행들이 홍콩에서 이탈하게 되면 홍콩에 진출한 미국회사들의 피해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홍콩의 미국 일반기업들도 발을 빼거나, 규모를 축소하게 되겠죠.
이번 뉴욕타임즈의 지사 이전이 홍콩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의 탈출 신호탄이 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