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TIP

입춘의 뜻과 유래

한솔마을 2021. 1. 21. 23:10
728x90
반응형

양력 2월 4일, 음력으로 한해의 시작을 알리는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입니다. 입춘은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를 이르는 말입니다. 입춘은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에는 정월 뿐만 아니라 섣달에 드는 해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재봉춘'이라고 부릅니다.

 

 

 

 

 

 

 

 

 

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입니다. 여기서 태양의 황도란 지구의 공전으로 나타나는 천구에서의 태양 겉보기 운동 경도를 말합니다.

 

 

즉, 지구가 태양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를 황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황경은 태양이 춘분점과 이루는 각도입니다. 농사가 중요했던 옛날에는 24절기를 농사에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입춘은 무슨 뜻일까?

 

 

 

입춘 立春

 

 : 설 립, 자리 위

1. 서다, 멈춰 서다

2. 똑바로 서다

3. 확고하다

4. 이루어지다

5. 정해지다

6. 전해지다

 

: 봄 춘, 움직일 준

1. 봄

2. 동녘

3. 남녀의 정

4. 젊은 나이

5. 정욕

6. 식히다

 

 

 

 

 

 

 

입춘의 한자 뜻을 그대로 풀면 '똑바로 선 봄', 또는 '이루어지는 남녀의 정..' 라는 뜻이 됩니다.

 

 

 

입춘은 새해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사회였던 옛날에는 이와 관련된 행사가 많았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입춘축(立春)을 붙이는 일이었습니다. 

 

 

입춘축(立春)

입춘축은 춘축, 입춘축이라고도 부르며 각 가정의 대문기둥이나 대들보, 천장 등에 복을 기원하는 글귀를 써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궁궐에서는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 문신들이 지은 시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연잎과 연꽃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붙였습니다. 이를 춘첩자라고 불렀습니다.

 

 

건양다경은 무슨뜻?

입춘축에는 주로 사용하는 글귀가 있습니다. 그런데 한자를 잘 사용하지 않는 오늘날에는 그냥 뭔가 부적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입춘축은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다릅니다. 입춘축은 큰방 문위 벽, 마루 양쪽기둥, 부엌의 문짝, 곳간의 문짝 등에 붙였습니다. 아는만큼 보이는 세상이니 입춘첩에서 주로 사용하는 글귀와 그 뜻을 알아봅시다.

 

 

 

 

 

 

 

1.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多) :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생기길 기원한다.

2.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3.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4.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 땅을 쓸면 황금이 생기고 문을 열면 만복이 온다.

5. 거천재 래백복(去千災 來百福) : 온갖 재앙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6. 재종춘설소 복축하운흥(災從春雪消 福逐夏雲興) : 재난은 봄눈처럼 사라지고 행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나라

 

 

 

입춘축은 붙이는 방법이 따로 있다고 합니다. 입춘이 드는 날, 정확한 시간에 붙여야 한다고 합니다. 입춘시간은 해마다 다르므로 혹시 입춘축을 준비하신 분들은 시간을 잘 알아보고 붙여보시기 바랍니다. 

 

 

 

 

 

 

 

입춘은 말 그대로 봄이 왔음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그러나 아직 남아있는 겨울기운에 여전히 날씨는 차갑습니다. 입춘무렵에 큰 추위가 있으면 "입춘추위에 김치독 얼어 터진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제는 추위가 물러가고 날이 따뜻해지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했습니다. 또한 입춘이 지나고도 날씨가 풀리지 않으면 "입춘을 거꾸로 붙였나"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입춘 무렵에는 어떤 음식을 먹으면 좋을까요?

1. 달래

 

 

 달래는 불교에서 금하고 있는 다섯 음식인 오신채 중 하나입니다. 스님들의 수양에 방해가 될 만큼 스태미나에 좋은 음식이기 때문에 금지했다고 합니다. 달래는 열량이 적고 비타민과 철분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식욕이 없을 때 먹으면 좋으며, 구내염과 잇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부추

 

 

부추 또한 스태미나에 좋은 음식 중 하나입니다. 몸의 양기를 강하게 만들고, 각종 질병과 성인병 예방을 돕습니다. 또한 감기와 설사 예방, 복통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간 건강과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부추는 전으로 부쳐 먹거나 무침으로 먹을 수 있고, 부추김치, 겉절이 등으로 먹으면 좋습니다.

 

3. 아귀

 

 

아귀는 입춘에 먹기 좋은 음식으로 꼽힙니다. 아귀의 살은 수분이 많고 콜레스테롤이 적은 대표적인 저지방 생선으로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활용됩니다. 아구의 껍질에는 콜라겐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미용에 좋으며 단백질이 풍부해 필수 아미노산 보충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도미

 

 

2월의 제철생선인 도미는 입춘음식으로 유명합니다. 도미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생선으로 비타민 B1의 함량이 높습니다. 따라서 피로해소에 좋으며, 도미 껍질은 비타민B2가 함유되어 영양소의 대사를 돕습니다. 

 

 

입춘의 한자 뜻을 뜻어보면 "봄의 시작" 이라는 뜻 말고도 "이루어지는 남녀의 정"이라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여성들 또한 날씨가 추운 겨울보다는 따뜻해지는 봄에 인연을 만나고 싶어한다고 합니다.

부디 봄에는 솔로탈출.....

반응형